백개먼은 주사위를 굴려 말을 움직이는 2인용 보드 게임이다. 대부분 공통적 특질을 가지는 백개먼의 여러 변형이 있다. 백개먼은 테이블 게임의 한 종류로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보드게임 중 하나이다. 비록 행운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전략에 의한 변화가 크다. 주사위의 결과에 따라 플레이어는 수많은 말[checker]의 움직임중 하나를 골라야 하고 상대방의 가능한 움직임을 예측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게임 도중에 판돈을 올릴 수 있다. 일반적인 작전과 현상들이 잘 정리되어 있다. 체스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과학자들은 큰 관심을 가지고 백개먼을 연구해 왔다. 이러한 연구 때문에 백개먼 소프트웨어는 세계 체스 인간 플레이어를 이기는 능력으로 발전되어 왔다.
규칙 백개먼에 쓰이는 조각은 말, 돌, 사람, 모조동전, 졸, 부스러기 등 다양하다. 게임의 목적은 상대편보다 먼저 각자 자신의 모든 말을 보드에서 제거(bearing off)하는 것이다. 말들은 최초 흩어져있고 상대편이 막거나 hit 할 수 있다. 개개의 게임에 대한 플레이 시간이 짧으므로 종종 매치로 진행될 수 있고 이때 어떤 점수값에 도달한 최초의 참가자가 우승한다.
설치 보드의 양쪽에는 point라 부르는 12개의 긴 삼각형의 경로가 있다. point들은 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것으로 보고, 말발굽 형태의 연속적인 경로를 형성하고, 1부터 24번까지 번호가 붙어있다. 각 플레이어는 24번 point에 두 개, 8번 point에 세 개, 13번 및 6번 point에 다섯 개의 말을 놓는다. 두 플레이어는 그들의 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각자 자신의 24번 point에서 자신의 1번 point로 이동한다. 1번부터 6번까지의 point는 home board 또는 inner board라 부르고 7번부터 12번까지는 outer board라 부른다. 7번 point는 bar point라 부르고 13번 point는 mid point라 부른다.
이동 게임이 시작하면 각자 플레이어는 한 개의 주사위를 굴려서, 큰 수가 나온 쪽이 먼저 움직인다. 각 주사위는 게임판의 오른쪽에 완전한 평면위에 굴린다. 플레이어는 번갈아가며 턴이 돌아오고, 각자 자신의 턴이 오면 두 주사위를 먼저 던진다. 한 플레이어의 주사위를 굴린 다음에, 가능하다면 주사위의 수에 따라 자신의 말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만약 주사위를 굴려 6과 3이 나왔다면 ("6-3"으로 표현한다), 플레이어는 하나의 말을 6 point 앞으로 이동해야 하고, 다른 말이나 그 말을 3 point 앞으로 이동한다. 두 움직임이 분별되는 한 동일한 말이 두 번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6 그리고 3 또는 3 그리고 6. 만약 굴려서 두 개의 같은 수가 나왔다면, doubles라 부르는데, 플레이어는 각자의 주사위를 두 번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5가 나왔다면 플레이어는 네 개의 말을 독립적으로 각각 다섯 번씩 움직일 수 있다. 어떤 수가 나오든 만약 플레이어가 두 주사위를 움직일 수 있다면 플레이어는 그렇게 해야만 한다. 만약 플레이어가 주어진 말들의 위치에서 어느 주사위로도 움직일 수 없다면 턴은 끝나고 상대방에게 넘어간다. 만약 두 주사위 모두의 이동은 불가능하지만 어느 한 개로 가능하다면 높은 수로 플레이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져 6-3이 나왔고 6이나 3으로만 움직일 수 밖에 없다면 더 큰 수인 6으로 이동해야 한다: 만약 3으로 가능하지만 6으로 불가능하다면 3으로 이동해야 한다. 또한 만약 한 주사위로 이동불가능하지만 그러한 이동으로 다른 주사위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다면 그러한 이동을 해야한다. 예를 들어 6-3이 나왔을 때 어느 말로도 3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6의 이동이 가능한 말 A와 말 B가 있다. 만약 말 A가 6만큼 이동하면 3으로 이동할 말이 없다. 만약 말 B가 6만큼 이동하면 3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규칙에 따라 말 B를 움직여야하고 그 다음 3을 움직여야 한다. 짧게 말해서 가능한 두 주사위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선택을 써야함을 뜻한다. 움직이는 동안, 말은 아무도 없거나 자신의 말이 놓여있는 곳에 갈 수 있다. 또한 "blot"이라 불리는 상대방의 말이 하나 있는 장소에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blot은 hit 되고, 보드 양면을 가르는 bar의 중앙에 놓는다. 말은 절대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상대편 말이 차지하는 장소에 갈 수 없다; 따라서 동시에 양쪽 플레이어의 말이 동시에 차지하는 point는 없다. bar에 놓여진 말은 상대편 home board를 통해 다시 게임에 들어올 수 있다. 주사위의 2가 나오면 23번 point로 들어오고, 3이 나오면 22번 point로 오고, 다른 값도 이렇게 반복된다. 플레이어는 bar에 있는 모든 자신의 말이 판에 들어올 때까지 다른 말을 움직일 수 없다. 플레이어의 모든 말이 플레이어의 home board에 있으면, 플레이어는 그들을 제거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은 bearing off라고 부른다. 주사위 1이 나오면 1번 point의 말을 bear off하고, 2가 나오면 2번 point에서 하고, 이렇게 반복한다. 만약 더 높은 point에 말이 없는 것이 아니라면 주사위는 낮은 수 point에 있는 말을 제거하는 데 쓸 수 없다. 예를 들어 만약 플레이어가 주사위를 굴려 6과 5가 나왔는데, 6번 point에는 말이 없고 5번 point에 말이 두 개 있을 경우, 6과 5로 5번 point에 있는 두 말을 bear off 할 수 있다. bear off 할 때, 플레이어는 낮은 주사위 눈을 높은 주사위 눈보다 먼저 움직일 수 있는데 심지어 '높은 주사위 수 전체 값'을 완전히 사용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만약 플레이어가 정확히 6번 point에 한 개의 말이 남았고 주사위눈을 굴려 6과 1이 나왔다면 플레이어는 6번 포인트의 말을 1칸 옮겨 5번 point로 이동하고, 5번 point의 말을 주사위눈 6을 이용해 bear off 한다; 이것은 때때로 전략적으로 유용하다. 상대방 플레이어가 15개 말 모두 bear off 했는데 자신은 하나도 bear off 하지 못했을 경우 이 플레이어는 gammon으로 진 것이고, 정상적인 패배의 두 배로 계산한다. 만약 진 플레이어가 하나도 bear off도 못하고 말이 여전히 bar 혹은 상대편의 home board에 있을 경우 이 플레에이어는 backgammon으로 진 것이고 정상적인 패배의 세 배로 계산한다.
곱배기 주사위[Doubling cube] 게임의 빠른 진행과 추가적인 전략적 차원을 제공하기 위해 곱배기 주사위가 사용될 수 있다. (중략)
전략과 전술 (중략)
사회적 및 경쟁적 놀이 (중략)
소프트웨어 (중략)
역사 백개먼의 역사는 대략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페르시아 고대 이집트 게임 senet은 주사위로 움직임을 좌우하는데서 백개먼을 닮았다. 그러나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했던 Royal Game of Ur는 현대 테이블 게임의 조상과 더 닮아있다. 이란에 있는 Shahr-e Sokhteh에서의 발굴을 통해 유사한 게임이 대략 기원전 3000년근방에 존재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유물은 두 개의 주사위와 60개의 말 세트를 포함하는데 우르 왕조에서 발견한 세트보다 100에서 200년 앞선 것으로 추정한다. (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