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 예전에 펀 글이라 출처가 기억 안 남. -_- 미국 국무부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전세계 테러 집단은 모두 30개 조직. 아부 니달, 헤즈볼라, 무자헤딘, 알지하드, 하마스등 중동지역 테러단체가13개로 가장 많고, 옴진리교, 일본적군파, 타밀 엘람 해방 호랑이(LTTE)등 아시아 지역에도 6개 조직이 있다. 일부에선 전세계 적으로 50여개 이상의 테러 그룹들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81년 미 중앙정보부(CIA)가 집계한 63개국 370개 테러그룹에 비하면 현저히 줄어든 것이다. 70~80년대 마르크스주의 혹은 모택동주의를 모태로 좌파 테러리스트들이 왕성한 활동을 했던 것에 비해, 90년대 들어선 크게 위축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교와 민족분쟁은 여전히 테러 조직들에 무자비한 테러의 빌미를 제공하고 있고, 이슬람 근본주의등 종교와 민족분리주의에 기초한 테러리스트들역시 위협적이다. 특히 21세기의 테러리스트들은 무고한 다중에 대해 무차별 적 테러 양상을 보이고 있어 더욱 위험하고 대응키 어려운 실정이다.
1. Basque Fatherland and Liberty, Euzkadi Ta Askatasuna (ETA) (스페인)
-Euskal Herria(바스크 공화국)는 정치적으로 프랑스와 스페인사이에서 모두 7개의 주로 나누어져 있는데 Iparraldea 혹은 Northern Basque Country(북바스크)라고 불리는 3개의 주는 프랑스의 통치에 있고, Hegoaldea 혹은 Southern Basque Country(남바스크)라고 불리는 나머지 4개의 주는 스페인의 지배를 받고 있다. 1901년에 Sabino Arana라는 바스크 국민당(Basque Nationalist Party)의 창시자가 7개의 바스크 주로 구성된 가식적인 바스크 연합국을 가리키기 위해 Euzkadi (Euskadi)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Basque Fatherland and Liberty(a.k.a Euzkadi Ta Askatasuna, ETA)는 1959년 스페인의 바스크지역의 독립을 목표로 창설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암묵적인 동조를 의미하고 있다.
<활동> -보안관련자, 군인, 정치가 및 사법관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고 있으면서 스페인 정부 관료에 대한 암살과 폭탄테러를 주로 일삼는다. 프랑스정부의 대항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ETA는 프랑스 이익에도 그 테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로 납치, 강도, 강탈, 착취를 통한 경제적 활동이 그 주된 활동이다. ETA는 1960년 대초 치명적인 테러공격을 시작하면서부터 800명이 넘는 사상자를 냈으며 최근 1997년에는 13명의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조직 정원> -확실히 알려진 사항은 없음. 다만 다수의 지지자를 바탕으로 수백명의 회원이 있는 것으로 추정될 뿐.
<활동 지역 및 범위> -북부 스페인 혹은 남부 프랑스 지역의 바스크 공화국을 그 주된 활동범위로 하고 있으나 스페인이나 프랑스 이익에 관련된 어느 지역에서나 폭탄 테러가 자행되어 왔다.
<외부 원조> ETA는 아일랜드 공화국 군대(Irish Republican Army, IRA)와 알제리의 이슬람 단체와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여기서 폭발물, 게릴라전, 도시지역 테러에 관한 훈련을 받는다. ETA는 유럽내의 이슬람 조직망을 통해 무기, 안전한 장소나 아지트, 병참학적 지원을 획득한다. ETA는 이란이나 레바논 군사 캠프에서 훈련을 받기도 한다. 과거에는 리바아, 레바논, 니카라과, 레바논 등지에서 여러차례에 걸쳐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몇몇의 ETA원들은 쿠바내에 도피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 Irish Republican Army (IRA), Provisional Irish Republican Army(PIRA) , the Provos (아일랜드)
-북아일랜드에서 영국군을 몰아내고 아일랜드를 통합하고자 하는 합법적 정치 운동인 신 페인 黨 (Sinn Fein, 그 운동 자체를 가리키기도 함.)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적인 부대로서 1969년에 이 급진적 테러단체가 형성되었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군 협의회(Army Council)의 지도아래 작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활동> -폭탄테러, 암살, 납치, 탈취 및 강탈을 주로 일삼는다. 1994년 휴전까지 그 공격대상은 주로 영국의 고위 정부 관료, 북아일랜드내의 군 경 그리고 군사단체에 준하는 북아일랜드내의 영국지지단체 (Northern Irish Loyalist)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1996년 2월 다시 그 정전협정을 파기한 이후부터 IRA는 기차, 지하철 역을 비롯하여 영국 본토내의 일반 상점, 영국군, 북아일랜드내의 영국 보안대(Royal Ulster Constabulary) 그리고 유럽내의 영국부대 시설등 이 모두를 그 공격목표로 삼고 있다.
<조직 정원> -정확한 수치는 알려져 있지 않고 다만 수천명의 동조자를 포함하여 수백명의 회원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동 지역 및 범위> -북아일랜드를 비롯한 아일랜드 공화국, 영국 본토, 유럽대륙
<외부 원조> -많은 나라의 다양 한 단체로부터 원조를 받고 있으며 주로 리비아 그리고 가끔은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PLO)로부터 상당량의 무기와 훈련을 받고 있다. 미국내의 지지자로부터도 무기와 지원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ETA와 작전상 많은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3. HAMAS(Islamic Resistance Movement)(JORDAN)
hamas는 1987년 후반부에 팔레스타인 이슬람 단체로부터 분리하여 형성되었다. hamas의 여러요인들은 이스라엘에 이슬람 팔레스타인 정부를 세우기 위하여 테러를 포함한 정치적이고 폭력적인 실력행사를 해왔다. hamas는 이슬람 사원을 통하여 활동하고 있는 요인과 인원을 모으고 자금을 구하며 활동족직을 구성하고 협상력을 갖추는 공적인 요인으로 느슨하게 조직화 되어있다. hamas의 군사적 요인은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폭력을 사용해왔다. hamas의 세력은 가자지구와 west bank의 몇개지구에 집중되어있다. hamas 역시 평화적이고 정치적인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활동 hamas의 활동가들은 이스라엘 국민과 군대에 대해 자살 특공대를 비롯한 다양한 공격을 해왔다.
세력 과격세력의 수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수만명의 지지자들과 동조자들이 있다.
활동영역 이스라엘과 요르단 지역
외부원조 국외 팔레스타인,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일부 원조자들로부터 자금을 받고 서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자금을 얻고 있다. 4. Japanese Red Army(JRA) , Anti-Imperialist International Brigade(AIIB)(Japan)
국제적인 태러 단체는 일본 사회주의자 리그-레드파가 해체된 후 1970년대에 형성되었다. 푸사코 시게노부에 의해 이끌어짐. 일본 외부에는 감추어진 것으로 믿어짐. 진술된 목적은 일본 정부와 독재를 전복시키고 세계 혁명 유발을 돕는 것이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조절가능한 조직은 AIIB로 믿겨진다. JRA가 마닐라나 싱가포르와 같은 아시아 도시에 조직거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리더 오사무 마루오카가 1987년 11월에 체포됨에 따라 세부사항이 드러났다. 처음부터 일본 외부에서 활동하고 근거를 둔 팔레스타인 테러 단체와 단기적 장기적 관계를 맺어왔다.
활동 1970년대 동안 JRA는 1972년 이스라엘 로드공항의 학살과 두 대의 일본항공기의 납치와 쿠알라 움프르에 있는 이국 대사관 탈취 시도 등을 포함한 세계곳곳의 테러 행위를 실행했다. 1988년 4월에는 JRA 활동원 유 키쿠무라는 New Jersey 고속도로에서의 폭파, 나폴리에서 USO 클럽의 폭파와 함께한 공격 계획, 그리고 미국 수리공을 포함한 5명을 죽인 JRA 활동으로 체포되었다. 키구무라는 이 혐의로 유죄를 선고 받았고 그는 미국에선 매우 긴 형기를 치르고 있다. 1955년 5월에는 에키타 유카코-장기간 JRA 활동원- 는 루마니아에서 체포되었고 그후 일본으로 이송되었다.
전력 7인의 단호한 멤버들에 관해: 동조자의 단호하지 않은 멤버
위치/ 활동 지역 예전에 레바논의 시리아 관할 지역이었던 곳에 기초: 멤버들의 현 거주지와 기초 조직의 불확실성
외부적 도움 알려지지 않음 |
이외에 타밀엘람해방호랑이, 나이지리아 델타 해방운동, ONLF 등이 있다.
|